본문 바로가기

경제

마이크로투나노 26일 코스닥시장 상장

반응형

마이크로투나노 26일 코스닥 상장 

마이크로투나노가 공모주 청약이 이달 18일까지 실시한 공모주 청약은 경쟁률이 1636대 1과 증거금 3조 1709억원 가량이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기관 투자자 대상으로 10~ 11일까지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국내외 총 1815개사가 참여하였고, 1717대 1의 경쟁률로 수요예측 흥행에 성공했다. 최종 공모가는 희망 공모가 범위 상단인 15500원으로 확정 되었다.

 

마이크로투나노의 경쟁력

일반 청약에서 3.2조가 몰리고  1636대 1의 경쟁률이 몰릴 수 밖에 없는지 마이크로투나노 기업에 경쟁력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하자. 

 

첫째, 반도체공정을 응용한 MEMS 기술을 활용하여 마이크로 단위에서 나노 단위까지 다양하고 세밀한 제품을 전문으로 생산할 수 있다.


둘째, 반도체 부품(Probe Card), ,의료기기(Microneedle), Foundry Service, 광통신부품, 자동차센서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독창적이고 우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셋째, 고객의 요구와 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산업 변화에 대응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기술력이 있다. 

 

마이크로 투나노의 핵심기술 MEMS에 대해서 알아보자. 

MEMS[초소형 정밀기계 기술]란 기계 및 전자기기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정밀가공용 첨단장비와 새로운 가공 공정기술을 이용해 광학부품, 통신부품, 마이크로 금형 등 초소형기기나 부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 및 시스템이다. 실리콘이나 수정, 유리 등을 가공해 초고밀도 집적회로, 머리카락 절반 두께의 초소형 기어, 손톱 크기의 하드디스크 등 초미세 기계구조물을 만드는 기술이다.
MEMS로 만든 미세 기계는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 미터) 이하의 정밀도를 갖는다. 구조적으로는 증착과 식각 등의 과정을 반복하는 반도체 미세공정기술을 적용해 저렴한 비용으로 초소형 제품의 대량생산을 가능케 하고, 반도체 기술에 버금가는 21세기 최대 유망 기술로 주목되며 각종 센서, 정보기기 분야 뿐만아니라 유전자 정보 해독을 위한 바이오칩 등 생명의료 분야, 무선부품, 광부품, 미세기계 분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MEMS는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거대한 잠재력을 지닌 기술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투나노의 공모주에 대한 수요는 기술적인 성장 가능성과 미래 성장 가능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아 공모주 청약은 흥행 했다. 또한, 앞으로 26일 상장하고 나서 경쟁적인 산업 환경에서 어떻게 경쟁력을 유지하고 발전해 나갈지도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다.

 

 

 

마이크로 투나노 재무정보 


마이크로 투나노의 재무정보를 보면, 2022년 1분기까지의 매출액은 31억 4,700만원으로 전년 대비 약 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영업이익은 2억 6,800만원으로 전년 대비 약 47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는 마이크로 투나노의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이크로 투나노의 기술적 성장 가능성

마이크로 투나노는 기술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반도체 부품(Probe Card), ,의료기기(Microneedle), Foundry Service, 광통신부품, 자동차센서) 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노 공정 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이 높이기 위해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기존 시장을 넓히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 주고,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이 뛰어난 마이크로 투나노가 미래에도 성장할 가능성 크다. 


따라서, 마이크로 투나노의 코스닥 상장과 관련하여,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이 뛰어나 기업 성장과 수익성이 큰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