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발달 심리학 - 사회정서적 발달

정서 발달

반응형

정서의 정의 

아동이든 성인이든 정서적인 사태일 때를 정확히 구분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정서를 정의하는 것은 어렵다. 가슴이 뛰거나 손바닥에 땀이 나고 속이 울렁거릴 때 정서적인 상태에 있는 것인가? 또는 웃거나 얼굴을 찡그리는 것이 정서적인 상태인가? 아동의 경우 신체와 얼굴은 정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심리학자들은 아동이 어떤 정서적인 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우리는 정서를 심리적인 각성, 의식적인 경험, 행동적표현,을 불러 있으킬 수 있는 느낌 또는 감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심리학자들은 정서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 어느 것인지와 정서적인 경험을 산출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느낌 또는 감정으로 서의 정서가 어떻게 혼합되어 작용하는지 연구한다. 

 

대개 우리는 아동의 정서 하면 분노, 두려움, 즐거움과 같은 극적인 감정들을 바로 떠올린다. 그러나 엄마가 아기를 잡을 때 모성이라는 감정, 지루한 것에 대한 짜증, 새로운 상황에 대한 불안과 같은 정서는 설명하기가 애매할 수 있다. 

 

그래서 심리학자들은 색다르고 다양한 방법으로 정서를 분류하지만, 거의 모든 분류의 한 가지 공통적인 특성은 정서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 긍정적인 정서성 : 높은 에너지, 열정, 흥분에서부터 침착, 조용, 위축까지의 긍정적인 정서의 범위를 말한다. 

- 부정적인 정서성 : 불안, 분노, 죄책감,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의 범위를 말한다. 

 

정서의 기능 심리학 

오늘날 , 많은 발달 학자들은 정서의 본질을 과거 연구자와는 다르게 본다.  정서란 개인의 정서적 반응이 일어나는 상황으로 부터 분리될 수 없는 것과 특별한 맥락의 요구에 적응하고자 하는 개인의 시도로 부터 나온다. 이러한 의미에서 엄격하게 말하면 정서란 내적 현상이라기 보다는 상관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 믾은 예에서 정서는 개인 간의 맥락에서 나온다. 그러므로 정서적인 표현은 사람이 어떻게 느끼는지, 자기 자신의 행동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사회적인 논쟁에서 중추적 역할을 어떻게 하는지를 다른 사람에게 보여 주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기능 심리학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정서는 그 의미가 개인의 목표로 부터 나온다고 한다. 목표는 다양한 방면에서의 정서와 관련된다. 목표가 무엇이든 간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장애물을 극복하는 개인은 행복감을 느낀다. 반대로 도달할 수 없는목표를 포기해야 하는 사람은 슬픔을 경험하고, 목표를 추구하는데 어려운 장애물을 직면한 사람은 자주 분노를 느낀다. 

 

목표의 특별한 본질은 주어진 정서의 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들면 위협에 대한 회피는 공포와 연결되어 있고, 속죄하고자 하는 욕구는 죄책감과 관련되어 있으며, 다른 사람에게 세밀히 조사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한 욕구는 수치심과 관련되어 있다. 많은 기능 심리학자들은 그들의 연구를 정서와 관련된 목표에 중점을 두고 있다. 

 

반응형